진료시간안내
- 월화수목금 09:00 ~ 19:00
- 토요일 09:00 ~ 14: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공휴일,일요일 휴진합니다.
홈으로
주 1회 이상 치즈 섭취, 고령층 치매 발생 위험 최대 24% 낮춰
일본 jages 코호트 연구팀,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자 7,900여 명 추적 조사
치즈 섭취군 치매 발생률 3.4%, 비섭취군 4.5%...위험 24% 낮아
고령화 시대, 치즈가 치매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 제시
치즈를 주 1회 이상 섭취하는 고령자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발생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니이미대학교(niimi university) 정승원 박사를 포함한 일본노년평가연구(jages)팀은 일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7,914명을 대상으로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식습관이 치매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는 일본 노년학적평가연구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관찰 연구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2019년 조사 당시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받은 적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해 치즈 섭취 여부와 건강 정보를 수집한 뒤, 이후 장기요양등급 기록을 통해 치매 발생 여부를 확인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성별, 나이, 교육 수준, 소득, 주관적 건강 상태 등 잠재적 혼란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을 1:1로 적용했다.
최종 분석에는 치즈 섭취군 3,957명과 비섭취군 3,957명 등 총 7,914명이 포함됐다. 3년 추적 조사 결과 치즈 섭취군의 치매 발생률은 3.4%(134명)였고, 비섭취군은 4.5%(176명)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에 따르면, 치즈를 주 1회 이상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발생 위험 치매 발생 위험이 최대 24%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식습관 변수(육류/생선, 채소/과일 섭취 빈도)를 추가 보정한 모델에서도 유의미하게 유지됐다. 치즈 섭취자 중 대다수인 72.1%가 일주일에 1~2회 섭취하며, 가장 많이 소비하는 치즈 종류는 가공 치즈(82.7%)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치즈 섭취가 상대적으로 낮은 일본 고령층을 대상으로 습관적인 치즈 섭취(주 1회 이상)가 치매 발생 위험 감소와 연관되어 있음을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치즈에는 신경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비타민 k2, 생리활성 펩타이드, 프로바이오틱스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염증 억제 및 대사 조절을 통해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생물학적 개연성(biological plausibility)을 제시한다. 비록 개별적인 효과는 크지 않으나, 인구 집단 전체의 공중 보건 관점에서는 이러한 식이 요인들이 치매 예방 노력에 의미 있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의 제1저자인 니이미대학교 정승원 박사는 "습관적인 치즈 섭취는 일본 고령층에서 3년간의 치매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비록 절대 위험 감소 폭은 작지만, 이는 발효 유제품이 인지 건강에 잠재적인 이점을 줄 수 있다는 기존의 관찰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치즈 종류별 차이와 최적 섭취량, 생물학적 메커니즘 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연구의 중요성과 후속 과제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cheese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dement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japanese adults: the jages 2019–2022 cohort study, 치즈 섭취와 일본 지역사회 고령자의 치매 발생 위험)는 10월 학술지 nutrients에 게재됐다.